유용한정보

(세무사 1차 시험 전략) 재정학 공부방법

요카지마 2021. 2. 21. 11:52
반응형

1. 서론

 

세무사 시험 1차 과목엔 1교시는 재정학, 세 법학개론 2교시 회계학개론, 선택법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시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1교시가 상대적으로 크게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적인 부담감이나 그런 것 포함해서 말이다. 이번엔 재정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본다. 

​재정학은 경제학에서 파생된 것으로 미시경제학을 토대로 이루어진 학문이다. 전공자의 경우 미시경제학의 기초가 되어있기에 상대적인 수월함은 있겠으나 비전공자의 경우 처음에 공부할 때 상대적으로 공부하기가 어려운 과목이라고 판단된다. 

​과거에는 재정학의 경우 점수따기 쉬운 효자 과목이라고 이야기가 나왔으나 근래는 기본개념을 자세하게 묻는 방향과 계산형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한 번 이야기를 해본다.

 

 

2. 재정학 공부방법

 

(1) 기본강의 수강

 

​가장 먼저 기본강의를 들으면서 무작정 암기하는 방향으로 하지 말고 이해를 함으로써 개념의 전반적인 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정학은 공무원 경제학과 비슷하게 무작정 암기만 한다면 울면서 공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선이해 후 암기의 방향으로 가면서 핵심적인 기본사항은 반드시 암기하는 방향으로 갈 것을 추천한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미시경제학을 토대로 한 것이라 재정학을 위한 미시경제 강의를 들어야 되지 않냐고 얘기는 나올 수 있다. 답은 들어도 그만 안 들어도 그만이다. 기본강의 때 미시경제학의 기초개념을 설명하면서 수업을 진행한다. 

그래도 불안하면 재정학을 위한 미시경제 강의를 먼저 듣고 재정학을 공부하는 것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선택은 본인몫이니까.

 

 

 

(2) 기출문제 풀이


​그다음으로 각 챕터별 수년간 가장 많이 기출이 되는 파트를 중요도로 표시하여 공부 투입의 강약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 된다. 즉 최다 빈출 파트 순으로 기본개념 이해와 그래프 접근법 다양한 계산법을 철저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다음에 상대적으로 빈출이 덜 되는 파트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대로 공부하는 것이 낫다.

최근 재정학에 계산문제가 점차 많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니 위의 방법대로 하면 될 것 같다.

​그렇다면 만약에 정말로 챕터의 중요도가 크든 작든 불문하고 내가 정말로 강의를 다시 보든 혼자 보든 도저히 이해가 안 되고 어렵다 그러면.... 해당 내용의 이론이 있으면 결론이나 중요 가정이 있다. 그것만 외워라. 과정이 어떻게 저떻게를 떠나서 실제 시험 때 지문에 중요 가정이나 결론 내용을 토대로 출제하기 때문에 그것만 알고 들어가도 무방하다. 

시험이란 것은 모르는 것 한 개에 집착하지 말고 내가 아는 최대한의 것을 많이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재정학은 기출 강의는 무조건 듣는 것을 추천한다. 선이해 후 암기의 방식으로 공부를 하는 것이라 다양한 문제를 접하고 기본강의 때 언급하지 않았던 계산문제나 그래프 문제의 빠른 접근법을 기출 강의 때 많이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출을 들으면서 완벽히 다지면서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리는 방법으로 가는 것이 고득점의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3. 공부 교재

 

마무리 교재는 보통 정병열 선생님의 하끝 재정학을 많이 본다. 하끝 교재가 좋은 것이 내 기억으로는 3개년도 최신 기출과 챕터별 ox 핵심 기본 내용 요약이 잘 되어있는 등 교재 퀄리티가 훨씬 좋다. 

하끝으로 내가 어디까지 진전이 되어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모자란 부분은 기본서나 기출과 연계해서 회독하는 방법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시험 한 달에서 두 달 사이 남았을 때 하끝 전체, 기출 체크한 것 무한 회독하고 연도별 기출을 출력해서 실력을 점검하는 방향으로 공부를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다. 


(본인의 공부 커리큘럼)
기본강의 : 김판기 T 재정학 강의 선이해 후 암기 방법으로 공부
기출강의 : 김판기T 기출강의 다양한 유형 및 중요 챕터별 공부 투입 차별화
마무리    : 정병열 T 하끝 재정학(강의 X 독학) + 기출 체크한 것, 연도별 기출 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