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야기/musescore 4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줄임표(2) 코다, 다카포

요카지마 2025. 2. 26. 03:07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도돌이표와 반복표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어서 다른 줄임표에 대해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줄임표에관한 설명과 예시는 나무위키의 줄임표 문서를 참조했습니다.

 

 

1. 코다(Coda)

 

위와 같은 악보를 만들려면 코다기호를 찾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평범하게 아무렇게나 만든 이런 악보에서

 

 

넣고싶은 마디에 직접 드래그&드랍으로 놓아도 되고 마디 활성화 후 직접 눌러주셔도 됩니다. 편한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그러면 위와같이 코다 기호가 들어간 악보를 만들 수 있는데

 

한 가지 유념하셔야 할 부분이 musescore에선 저렇게 해도 나무위키 문서에 나온 바와 같은 1-2-5로 진행, 재생되는 악보는 만들 수 없습니다. 다른 반복 기호 ex) D.S al Coda 와 같은 기호를 추가하셔야 반영이 되는데 사실 위와 같은 악보는 실제 악보에서 거의 쓰일일이 없으므로 기호를 넣어 보는데 만족하는 악보를 만들 수 있다는 것만 알아두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2. 다 카포(Da capo)

 

2.1 평범한 다 카포(D.C)

 

위 그림에서 설명했듯 다 카포는 처음으로 돌아가라는 뜻이므로 끝에 다 카포 기호가 붙을 경우 맨 처음 시작마디부터 다시 연주하게 되는 악보가 됩니다.

 

이걸 musescore 4 에 적용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 카포 기호인 D.C를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적용시켜 주시면

 

 

위와 같은 악보를 만들 수 있으며 재생을 했을 때도 무리 없이 진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 다 카포 알 피네 (Da capo al Fine, D.C al Fine)

 

 

위 사진에서 선택된 기호 Fine와 D.C al Fine를 이용하여 악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태 알아봤던 방법으로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musescore 4의 버그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Fine에서 끝나고도 2마디 정도 더 진행되긴 하는데 연주소리는 나지 않고 연주바(bar)만 지나가는 걸 볼 수 있지만 크게 불편하지 않으니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마디에서 완전히 끝나는 악보도 진행시간이 2초정도 지속 됩니다.)

 

 

2.3 다 카포 알 코다 (Da capo al  Coda, D.C al Coda)

 

우선 설명과 같은 악보를 musescore 4에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드는 법은 수월합니다.

 

하지만!!

 

맨 처음 코다기호 두 개가 나왔던 악보와 마찬가지로 musescore 4 프로그램 내에서 인식이 되지 않는지 의도했던 진행이었던 1-2-3-4-5-1-2-5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넋놓고 볼 수는 없겠죠?

 

맨 처음 악보와 달리 이번에 알아볼 악보는 실제 악보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악보 진행 방식이므로 다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코다마크 대신 To coda를 이용해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coda 기호를 두 번째 마디에 삽입해 주시면 처음 우리가 원했던 진행방식인 1-2-3-4-5-1-2-5로 진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줄임표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달 세뇨볼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