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의 경우 고스트 노트를 통한 타악기와 비슷한 느낌의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간혹 뮤트음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하지만 뮤트는 음소거시킨다는 뜻으로 소리를 아예 내지 않는다는 뜻이므로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그래도 널리 쓰는 용어라서 찾아오기 쉬우시라고 글 제목에다 뮤트라는 단어를 넣긴 했습니다.
그럼 musescore 4에서 고스트노트를 넣기 이전 설정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고스트 노트를 입력할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편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오늘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다른 방법을 알고 계신 분은 다른 방법을 이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아무런 설정값을 건드리지 않은 팔레트의 모습입니다.
여기선 아무리 찾아도 고스트노트를 입력할 수 없습니다.
우선 위와 같이 팔레트 추가 버튼을 누르시고 음표 머리 오른쪽에 보이는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음표 머리 즉 기존의 음표머리에서 고스트 노트를 표현 할 X표시를 할 수 있는 팔레트가 추가된 것입니다.
그럼 위 악보에서 지금 파란색으로 활성화된 음표를 고스트 노트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표 머리 팔레트에서 위 사진과 같은 아이콘을 클릭 해주시면
이렇게 바뀌게 됩니다.
※ 사실 음표 머리는 저렇게 바뀌지만 악보 재생시켜 봤을 때는 고스트 노트음이 반영되진 않습니다.
그 방법 또한 복잡한데 여기서는 다루지 않고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musescore4에서 고스트 노트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음악이야기 > musescore 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잇단음표 셋잇단 (0) | 2025.02.21 |
---|---|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점음표 입력 방법 (0) | 2025.02.11 |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악기 튜닝 (0) | 2025.02.07 |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음표 넣는 법 (0) | 2025.02.05 |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타브 악보 작성에 필수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