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관리
1. 재고보유의 동기
1)거래동기
2)예방동기
3)투기동기
2. 재고의 종류
1) 순환재고(주기재고)
일시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주문하는 경우
2) 안전재고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확보하고 있는 재고
3) 예상재고
계절적요인, 가격의 변화 등을 예상하고 대비하기 위해 보유하는 재고
4) 파이프라인 재고
유통과정 중에 있는 제품이나 생산중에 있는 재공
3 재고비용의 분류
1)구매/발주비용
2) (생산)준비비용
3) 재고유지비
4. 경제적 주문량(EOQ)
재고관련 비용이 최소가 되는 최적 주문량을 결정하는 모형
주문량이 커지면 재고유지비용과 자본비용은 커지는 반면에 주문비용과 재고부족비용은 적어진다.
/2*년간 수요량*1회 주문비용/단가*재고유지비율
5. 경제적 생산량(EPQ)
최적 1회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
자재소요계획(MRP)
1.MRP의 의의
자재소요계획은 경제적 주문량과 주문점 산정을 기초로 하는 전통적인 재고통제 기법의 여러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재관리 및 재고통제기법.
1) MRP시스템의 투입요소
주생산일정계획(MPS), 재고기록파일(IRF), 자재명세서(BOM)
개략 능력요구계획(RCCP)
기준생산계획과 제조자원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원요구량을 계산해내는 것이 RCCP이다.
능력소요계획(CRP)
1. CRP의 의미
MRP 전개에 의해 생성된 계획이 얼마만큼의 제조자원을 요구하는지를 계산하는 모듈
필요자료 : 작업공정표, 작업장정보, 발주계획량
2. RCCP와 CRP의 차이점
RCCP의 주요입력데이터는 MPS Plan
CRP의 주요입력데이터는 MRP Record
자원요구량을 계산하는 과정에서도 CRP가 RCCP보다 정확하다.
공급망관리
1. SCM의 개념
제품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하나의 통합망으로 관리하는 경영전략시스템
2. SCM의 세 가지 주요흐름
제품/서비스흐름, 정보흐름, 재정흐름
'다른공부 > ERP생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 생산] 공정관리 (0) | 2017.01.04 |
---|---|
[ERP 생산] 생산계획 및 통제 (0) |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