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공부/ERP생산

[ERP 생산] 생산계획 및 통제

요카지마 2017. 1. 3. 18:25
반응형

생산을 위한 기초정보 및 생산시스템 일반


1. 생산에 간련된 기본적인 용어


생산 : 생산요소를 경제제로 변환시킴으로서 효용성을 산출하는 과정

생산성 : 노동력, 기계사용시간 생산요소를 경제제로 변환시킴으로서 효용을 산출하는 과정


생산성 = 산출량(output) / 투입량(input)


생산성 측정


단일 : 부분생산성

하나이상 : 다요소생산성

모든투입요소 : 총요소생산성


생산성 척도는 주로 측정목적에 따라 다르게 선택된다.


예)

4명의 작업자가 8시간 동안 카페트 1440m2를 설치하였다.

2대의 기계가 3시간 동안 126개의 부품을 제조하였다.


노동생산성 = 카페트설치규모/작업시간

               = 1440m2 / (4명 * 8시간)

               = 45m2 / 시간


기계생산성 = 제품생산량/제조시간

               = 126개 / (2대 * 3시간)

               = 21개 / 시간



2. BOM


Engineering BOM : 설계부서에서 사용. 기능 중심

Manufacturing or Production BOM : 생산관리 부서생산 현장에서 사용.

Planning BOM : 생산 계획, 기준일정계획에 사용됨 생산관리 부서 및 판매, 마케팅 부서 등에서 사용

Modular BOM : 옵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방대한 양의 BOM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Percantage BOM : Planning BOM의 일종으로 제품 또는 구성부품의 양을 정수가 아닌 백분율로 표현.

Inverted BOM : 단일부품 -> (가공) -> 최종 제품.


수요예측


예측기간이 길어질 수록 정확도는 낮아진다. = 예측기간이 짧을 수록 정확도는 높아진다.


1.제품의 수명주기


1)도입기 : 구매를 자극해야 하는 단계

2)성장기 : 수요와 매출이 증가하는 시기

3)성숙기 : 제품가격이 낮아지기 시작하고 이익이 늘어난다.

4)쇠퇴기 :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시기로 대체 제품이 등장한다.


2.예측기법의 종류


1)정성적 예측기법 : 시장실헙법, 패널동의법, 팬매원의견합성법, 수명주기 유추법, 델파이법


2)정량적 예측기법 :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 ARIMA(시계열), 분해법, 확산모형, 회귀분석법


채찍효과(Bullwhip Effect)란?

소비자로부터 시작된 변화가 소매상과 도매상을 거쳐 제조업체로 넘어 오면 그 변화가 상당히 부풀려 진다는 것

공급망상에서 수요정보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야기.


대처방안

불확실성 제거, 변동폭의 감소, 리드타임 단축, 전략적 파트너쉽


생산시스템


1.생산방식에 의한 분류


1) 프로젝트 생산방식(Project Shop) : 건물이나 교량, 배 등 장소의 제한을 받음, 이들은 제조한다기보다 구축한다는 개념이 더 강한 제품들


2) 개별생산방식(Job Shop) : 항공기, 치공구, 가구, 기계장비 등 주문자 요구에 의한 방식. 소량생산, 범용성 있는 장비가 사용, 리드타임이 길고 생산, 제고의 관리가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든다.

-Job Shop의 특징 : 주문에 의한 생산, 범용기계, 공정별 기계배치, 큰 유연성, 숙련공, 공장내의 물자이송량이 큼


3) 연속 생산방식 : JIT기법 (자동차, 델레비전, 카메라, 컴퓨터 등 주요산업의 대량생산) 대량데이터 처리, 시간단축 등으로 효율화시킨 MRP가 적용.


4) 흐름 생산방식 (Flow Shop) : 원자재가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정으로 이동(석유, 화학, 가스, 음료수, 주류, 철강 등) 각공정의 옵션에 따라 몇 가지의 제품을 생산, 작업자의 손을 많이 거치지 않음

-Flow shop의 특징 : 특수 전용기계, 적은 유연성, 물자 이송량이 작음.


2.제조전략에 적합한 생산시스템의 형태


1) Make To Stock (재고형 생산) : 완제품을 재고로 가지고 있다가 고객의 주문에 맞추어 공급


2) Assemble To Order (주문조립 생산) : 반제품을 제고로 보관하고 있다가 고객의 주문에 맞추어 공급


3) Make To Order (주문 생산) : 고객의 주문이 들어오면 원자재의 가공, 반제품의 생산 및, 완제품의 조립이 이루어짐


4) Engineer To Order (주문설계 생산): 고객의 주문이 들어오면 설계로부터 시작해서 자재의 구입 및 생산, 조립을 하는 생산 전략.



총괄계획의 개념


총괄생산계획 : 생산시스템과 재고시스템의 결합에 의하여 기업전체의 생산 최적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1) 생산율 조정

2) 고용수준 변동

3) 재고수준의 조정

4) 하청


기준생산계획(MPS)



반응형

'다른공부 > ERP생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 생산] 자재소요/생산능력 계획  (0) 2017.01.09
[ERP 생산] 공정관리  (0) 201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