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재취업 전 까지 그동안은 보통 급여에서 공제되던 4대보험 중 하나인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이 직장가입자가 아닌 지역가입자 자격으로 납후가데 된다면 생각보다 부담이 클 것입니다. 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임의계속가입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신청방법 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의계속가입 제도란?
실업자에 대한 건강보험료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제도로 지역보험료보다 임의계속가입자 보험료가 적은 경우 임의계속보험료로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퇴직 전 18개월간 직장가입자의 자격을 유지한 기간이 통산 1년 이상인 사람만 신청 가능합니다.
2. 납부 금액은 어느정도 될까?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보험료가 산정된 최근 12개월간의 보수월액을 평균한 금액×연도별 직장가입자 보험료율×50%(경감)] +소득월액보험료(법 제110조)(2018.07.01.부터 개정시행)
3. 혜택은 어떤 것이 있나요?
36개월 동안은 지역보험료 대신 임의계속가입자 보험료 납부(2018.01.01.부터 개정 시행)
직장가입자와 동일하게 피부양자 등재 가능합니다. 그러니 가족 구성원 중 피부양자 등재가 가능한 분이 있다면 알아보고 반드시 등록해서 혜택을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4. 신청방법을 알려주세요
우선 신청방법에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지는데요
1) 가까운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임의계속가입 신청하는 방법
2) 우편,FAX 또는 유선으로 신청하는 방법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게 된다면 가장 깔끔하고 확실하게 신청할 수 있겠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우편, FAX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 때 FAX는 현재 주소지 기준 담당 건강보험관리공단에 재출하면 되겠습니다.
5. FAX로 신청하는 방법을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을까요?
임의계속 (가입, 탈퇴) 신청서 | 국민건강보험
[ 자격 ] 임의계속 (가입, 탈퇴) 신청서 임의계속 (가입, 탈퇴) 신청서 - 임의계속 가입 신청서 - 임의계속 탈퇴 신청서
www.nhis.or.kr
1) 우선 위 링크를 통해 가입신청서를 다운로드 하신 후 작성하셔야 됩니다.
위 이미지의 표시해둔 부분은 꼭 작성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꼭! 프린트를 하셔서 자필로 작성후 서명까지 하셔야 합니다
2) 임의계속가입자 신청하면서 피부양자 신청도 같이 가능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필요한 서류가 있는데
1. 신청인기준 주민등록등본
2. 피부양자기준 가족관계증명서
이 또한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인터넷으로 발급 가능합니다.
아래에 링크를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13100000015&HighCtgCD=A01010001&Mcode=10200
가족관계증면서 인터넷 발급 : https://efamily.scourt.go.kr/pt/PtFrrpApplrInfoInqW.do?menuFg=02
물론 위의 서류들도 프린트 하신 후 팩스를 보내주셔야 합니다.
3) 이제 팩스를 보내야겠죠? 팩스를 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현재 주소지 기준 해당하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지사와 지사의 팩스번호를 알아야겠죠?
https://www.nhis.or.kr/nhis/about/wbhafb01600m01.do
전국 지역본부/지사
www.nhis.or.kr
위 링크를 통해 신청하시고자 하는 분의 지사를 알아보시고
행정지원부 또는 자격부과부의 팩스번호로 보내시면 됩니다.
6. 주변에 FAX(팩스) 보낼 곳이 마땅히 없어요 다른 방법은 없나요?
물론 있습니다!!
제가 썼던 방법인데요
우선 위의 서류들(신청서,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을 전부 스캔 해주셔야 합니다.
스캔한 파일들은 될 수 있으면 PDF로 저장해두세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ho.mobilefax&hl=ko&gl=US&pli=1
모바일팩스 - Google Play 앱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간편한 개인용 팩스앱!! 모바일팩스!!
play.google.com
그리고 스캔해서 취합한 PDF파일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합니다.
전송 방법에는 이메일을 나에게로 보내거나 카카오톡 나와의 대화 등 여러 방법이 있으므로 다른 방법은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어플을 실행시킨 후 위의 사진/문서 첨부를 눌러줍니다.
제가 가르쳐준 방법대로 PDF로 저장했다면 문서부분을 눌러서 해당 문서파일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최근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한 순서대로 보여질테니 아마 맨 앞부분에 있을걸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해당하는 지부/지사 팩스번호를 입력하고 팩스발송을 눌러주면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만 발송하실 수 있습니다.
위 방법이 더 복잡하고 힘들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직접 지사에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되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으시는분 예를 들면 평일에 아직 4대보험이 들어가지 않는 아르바이트나 수습,인턴으로 일 하시는 분들의 경우 평일만 운영하는 공단의 특성상 방문하기가 쉽지 않을텐데 팩스로 보낸다면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이 들고 팩스마져 보내기 힘든 상황이라면 위에 설명한 모바일 팩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 됩니다.
이상으로 임의계속가입자 신청 방법과 그에 더불어 피부양자 신청하는 방법 그리고 모바일 팩스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구독 서비스 카카오뷰 11월 30일 서비스 종료 예정 (0) | 2023.08.28 |
---|---|
스팀(Steam)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가 가능하다고?! (1) | 2021.08.17 |
7년의 밤 정유정 작가의 악(惡) 3부작 소설, 영화 (0) | 2021.08.13 |
머지포인트 당하셨습니까? 머지포인트 환불이라도 신청하셔야죠 (0) | 2021.08.12 |
블리자드 계정 해킹 이메일 변경당하신 분들에게 드리는 팁 (62)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