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야기/musescore 4

[뮤즈스코어4] MuseScore4 사용법 | 악기 튜닝

요카지마 2025. 2. 7. 03:03
반응형

곡에 따라서 스탠다드 튜닝이 아닌 변칙 튜닝을 이용해 곡을 연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스탠다드 튜닝으로 악보를 작성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튜닝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베이스를 예시로 들었으며 악기에 따라 조율이 다를 뿐 방법은 같습니다.

 

 

 

우선 기본적인 악보 화면입니다.

 

타브 악보 부분에 우클릭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표/파트 속성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유용한 설정이 있지만 이 글의 목표인 조율, 튜닝을 할 수 있는 설정창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에 보이는 현악기 데이터 편집으로 들어가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예시로 Dropped D 튜닝을 해보겠습니다.

 

 

튜닝을 하고 싶은 피치를 더블클릭 해주시면

 

 

 


위와 같이 음표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D2를 눌러주시고 확인버튼을 눌러주시면 완료됩니다.

 

 

음표를 입력해 봤는데 위와 같이 사용가능한 음역대를 벗어난(스탠다드 튜닝 4번 줄 개방현을 반영하지 못 한) 음들은 빨간색 음표로 표시가 됩니다.

 

사실 악보를 보는데 상관은 없지만 그래도 거슬린다면 옵션을 끄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집 - 설정창으로 들어가 주시고

 

 

 

 

음표입력에 들어가신 다음

 

 

"사용 가능한 음역 밖에 있는 음표를 색으로 표시" 항목의 체크를 해제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에서 봤던 악보와는 달리 빨간 음표머리가 검은색으로 바뀐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악기의 변칙 튜닝 방법과 그에 따른 다른 옵션 변경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