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c프로그램은 함수의 모임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함수가 main 함수
프로그램 실행은 main 함수에서 시작하여 main 함수가 끝나면 실행도 끝난다.
큰 따옴표는 내가 만든것...
함수 바깥에서 쓰인 것은 공통
main함수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처음으로 실행되는 함수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프로젝트에 하나만 존재해야 하는 함수
함수의 본체(body)
-{}로 묶은 내용을 블록(block)이라 함
-{}는 함수의 본체 외에도 한 개 이상의 문장(statement)을 묶을 때 사용
선언부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변수를 선언하는 곳.
-c언어는 반드시 실행부 이전에 변수 선언문이 있어야 함
실행부
-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명쳥문을 모아둔 곳
-주어진 자료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한 처리 과정을 c언어 구문에 맞게 명령문으로 표현한 곳
주석(comment)문
실행과는 상관없이 프로그램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설명을 넣은 곳
한 줄 주석: //
여러 줄 주석: /* */로 묶기
빈행(9. 16. 19)
-프로그램 가독성을 위해 관련된 부분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사용
-빈 행이 많다고 기계 코드가 길어지지 않음
함수 본체의 일반적 구성
c프로그램의 명령문은 ;으로 끝남
1.변수선언
.
.
.
c프로ㅡ램의 기본 구조
printf("...%d %lf", 표현식1, 표현식2);
컴퓨터의 자료는 2진수, 즉 0과1의 코드로 표현되어 저장됨
자료가 숫자든 문자든 2진수 숫자로 변환
자료형(문자,정수,실수 등)마다 표현 방식과 이진 코드의 길이도 다름
프로그래머는 자료형마다 표현 방식과 제한된 크기를 미리 알고 처리할 자료에 가정 적절한 자료형을 선택해야...
문자 체계(character system)
ASCII
- 7비트를 사용해 128개의 문자,숫자, 특수 문자에 코드를 부여
char a='B';
a=a+32
a=a+ 'x'-'X';
음의 정수의 표현
2의 보수 구하기: 방법 1
ex)
+5 0000 0101
-5 1111 1011
정수의 표현범위
정수의 표현에 8비트를 사용하면 -(2의 7승) ~ (2의 7승-1)까지 표현 가능
제한된 비트수로 정수를 표현하므로 표현 가능한 범위를 넘지 않도록 주의
8비트 최솟값 -2의 7승
8비트 최댓값 2의 7승 -1
공부하는데 도움 될 것 같은 식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main()
{
int a=0x13;
printf("%d %o %x \n",a,a,a);
printf("%c\n",'\141');
system("pause");
}
실수형상수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main()
{
int a=0232;
printf("%d %d %d \n",sizeof(a),sizeof(3.14),sizeof(3.5f));
printf("%c\n",'\141');
system("pause");
}
sizeof는 바이트 수(기억 장소의 크기)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main()
{
char a=02;
printf("%d %d %d \n",sizeof(a),sizeof(3.14),sizeof(3));
printf("%c\n",'\141');
system("pause");
}
변수선언의 의미
변수의 자료형에 맞는 기억 공간이 할당되어 자료를 저장 가능하게 됨
'다른공부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교양 20160405 (0) | 2016.04.05 |
---|---|
c언어 교양 20160331 (0) | 2016.03.31 |
c언어 교양 20160329 (0) | 2016.03.29 |
c언어 교양 20160317 (0) | 2016.03.17 |
c언어 교양 20160310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