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핫이슈

스포티파이(spotify)? 그게 도대체 뭐길래 이슈지?

요카지마 2021. 2. 3. 01:18
반응형

도대체 스포티파이가 뭐길래 이렇게 이슈일까요?

와이파이 모양의 로고를 보니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것 같긴 한데 정확하게 알아볼까요?

Listening is everything

Spotify에는 여러분이 원하는 모든 음악이 있습니다.

www.spotify.com

스포티파이란?

창립자는 다니엘 에크(Daniel Ek)로 스웨덴을 시작으로 2008년에 출범한 전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이며, 현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있는 기업이다.
2020년 9월 30일 기준으로 사용자는 3억 2,000만 명 이상이며, 프리미엄 사용자는 1억 4,400만 명에 달한다.

 

쉽게 생각해서 멜론, 벅스같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입니다.

 

스포티파이의 주요 기능

주요 기능으로
나만의 플레이리스트가 있는데 자동으로 음악을 선정해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주는 Spotify의 핵심 기능입니다.
특히 데일리 믹스(Daily Mix) 기능은 Spotify를 대표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선택, 팔로우한 아티스트나 감상한 곡 및 곡의 장르를 기반으로, 그와 관련된 곡들로 자동으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해 줍니다.

그 외에 신곡 레이더(Release Radar) 새 위클리 추천곡(Discover Weekly) ~년에 즐겨듣던 곡(Your Top Songs) 과 같은 시기별로 혹은 완전 새로운 추천곡을 보여줌으로써 또 다른 인생곡을 찾을 기회를 많이 준다고 하네요

Tastebreakers 와 같은 많이 청취하지 않은 곡들도 추천 하여 취양의 다양성도 제공할 여지를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또 Radio기능은 Spotify에서 가장 유용한 기능이며 선택된 장르 및 아티스트에 따라 재생되며 가장 인기 있는 트랙을 들려주며 프리미엄 사용자는 제한없이 건너뛸 수 있으며 무료 사용자는 6번의 제한이 있습니다. Spotify 라디오 기능과 가장 많이 비교되는 게 iTunes Store의 라디오 기능인데, 아이튠즈 스토어 라디오 기능은 곡의 인기도를 선택할 수 있는 반면 Spotify 라디오는 인기가 있는 노래 위주로 나온다고 하네요
또 이 라디오 기능을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독립하여 추리한 Spotify Station도 있습니다.

 

갑자기 왜?

그런데 그런 스포티파이가 갑자기 대한민국에서 큰 이슈가 됐을까요?

그건 바로...

스포티파이 론칭…음원업계 지각변동 [공식]

세계 최대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가 국내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2일 밝혔다. 국내 서비스 론칭을 통해 스포티파이는 6천만 개 이상의 트랙과 40억 개 이상의 플레이

news.naver.com

2021년 2월2일 부로 한국에서도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기 때문 입니다.

항간엔 대한민국 음원업계 지각변동이라 할 정도로 큰 이슈인데요

우리나라는 강력한 음원서비스인 멜론이 있지만 위협할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서비스에서는 국내 음원들은 아직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한국 계정으로는 카카오M이 유통하고 있는 가수들의 음원 대부분을 정상적으로 들을 수 없는 상태라고 하는데요

이런 상황은 국내 일부 음원 유통사와 계약을 맺지 못해 발생했다고 합니다.

해당 상황이 지속될 경우 스포티파이는 음원 부족으로 애플 뮤직의 전철을 밟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데 일각에서는 카카오M이 반독점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냐며 비판하고 있다네요.

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표면상 스포티파이의 마케팅 비용 때문에 계약을 끌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으며 스포티파이는 국내 이용자들에게 가입 시 7일간 무료체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독 가입까지 하면 3개월 더 무료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는데 다만 프로모션 비용은 스포티파이가 전액 부담하기보다는 음원 유통사들과 분담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급 결정을 보류했다는 것 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카카오M, 지니뮤직의 음원 미공급에 대해 "경쟁사업자를 배제하려고 당연히 줄 수 있는 것을 안 주거나 계열사를 우대하려고 차별적 취급을 한다면 공정거래법 위반이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행위 그 자체로 위법한 행위가 되기보다는 어느 정도의 지배력을 갖고 있는지 등 시장 전체 상황을 놓고 판단할 문제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래도 상황이 잘 풀려나가갈 바라는 소비자들의 마음이 닿았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이런걸 감안 하고도 한국계정을 사용하실 분들은 아래 요금제를 참고하세요

유튜브 프리미엄 처럼 갑자기 요금을 올리고 초기 사용자들에겐 인상 전 요금제를 제공할 수도 있으니 말이죠

잘 판단 하셔서 기회를 잡으시길 바랍니다.

 

스포티파이 공식홈페이지에 등록된 요금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