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뮤즈스코어4에서 드럼악보 만드는 법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음정이 있는 악기와 달리 드럼과 같은 타악기는 만들기 쉬울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은게 현실입니다.
그럼 드럼악보 만들기 시작단계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맨 처음 뮤즈스코어4 포스팅에서 알아봤던 새 악보 만들기 입니다.
우리가 흔히 5기통드럼이라고 하는 드럼 세트는 위와같이 5피스 드럼 키트로 설정해두시고
추가 악보 설정에서 조표는 타악기기 때문에 신경쓸필요 없고
나머지는 만들고자 하는 악보에 따라 설정해두시면 됩니다.
드럼 악보에서 쓰이는 음표의 구성요소 입니다.
기본적으로 나무위키의 드럼악보 문서에 있는대로 음표가 구성되있는 경우도 있지만 아닌 경우도 있으니 악보 만드는데 참조해주셔야 합니다.
우리가 자주 볼 수 있는 악보표기와 다르므로 musescore4 음표에 적응하시던가 아니면 좌측하단에 있는 Edit drumset에서 바꿔 주시면 됩니다.
드럼셋 편집창에 들어가면 이렇게 음표와 음표머리를 수정 할 수 있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시범적으로 크로스스틱 or 림샷의 음표머리를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림샷의 음표는 위와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걸 크로스(X)로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Cross-stick 항목을 눌러주시면 위와같은 창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눌러주시면
위와 같은걸 보실 수 있는데 크로스를 선택해주고 나와서 적용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음표머리가 바뀐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래시 심벌도 위와같은 표기도 있지만 자주 볼수 있는 원 안에 X가 들어가는 음표머리로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럼셋 편집으로 들어가는 건 똑같고 이번엔 Crash Cymbal로 들어가면 되겠습니다.
여기서도 역시 음표 머리 그룹을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선택화면을 보실 수 있을텐데 원 안에 X표를 눌러주시고 적용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된 악보도 있지만 음표 높이가 좀더 낮은 악보도 있습니다
그렇게 설정 하는 방법이 있냐구요?
물론 가능합니다!
보표 선 부분을 조절해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렇게 음표 높이가 달라진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시는 설정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번엔 기본적인 드럼악보 만드는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선 또 다른 musescore로 만드는 드럼악보에서 쓰이는 유용한 기능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